SMALL
1. 기호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변경
- 기호를 이용하여 파일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기호 모드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된다.
- 기호 모드에서 사용하는 문자와 기호
구분 | 문자 / 기호 | 의미 |
사용자 카테고리 문자 | u | 파일 소유자 |
g | 파일 소유 그룹 | |
o | 소유자와 그룹 이외의 기타 사용자 | |
a | 전체 사용자 | |
연산자 기호 | + | 권한 부여 |
- | 권한 제거 | |
= | 접근 권한 설정 | |
접근 권한 문자 | r | 읽기 권한 |
w | 쓰기 권한 | |
x | 실행 권한 |
- 기호 모드를 사용한 접근 권한 설정 예
권한 표기 | 의미 |
u+w | 소유자(u)에게 쓰기(w) 권한 부여(+) |
u-x | 소유자(u)의 실행(x) 권한 제거(-) |
g+w | 그룹(g)에 쓰기(w) 권한 부여(+) |
o-r | 기타 사용자(o)의 읽기(r) 권한 제거(-) |
g+wx | 그룹(g)에 쓰기(w)와 실행(x) 권한 부여(+) |
+wx | 모든 사용자에게 쓰기(w)와 실행(x) 권한 부여(+) |
a+rwx |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(r), 쓰기(w), 실행(x) 권한 부여(+) |
u=rwx | 소유자(u)에게 읽기(r), 쓰기(w), 실행(x) 권한 부여(=) |
go+w | 그룹(g)과 기타 사용자(o)에게 쓰기(w) 권한 부여(+) |
u+x,go+w | 소유자(u)에게 실행(x) 권한을 부여하고(+) 그룹(g)과 기타 사용자(o)에게 쓰기(w) 권한 부여(+) |
- 사용 예
728x90
반응형
LIST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17. 기본 및 특수 접근 권한 설정 (0) | 2023.02.10 |
---|---|
[Linux] 16. 숫자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변경 (0) | 2023.02.10 |
[Linux] 14. 파일 속성 및 파일 접근 권한 (0) | 2023.02.10 |
[Linux] 13. 환경 설정 파일 (0) | 2023.02.10 |
[Linux] 12. 프롬프트 설정 (0) | 2023.02.1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