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MALL
1. 숫자로 환산하는 방법
- 기호모드에서는 권한을 모두 문자로 표현했으나 숫자 모드에서는 각 권한의 있고 없고를 1과 0으로 표기하고 이를 다시 환산하여 숫자로 표현한다. 카테고리별로 권한의 조합에 따라 0~7로 나타낸다.

- 이진수를 이용하여 숫자를 표기한다.
- r : 4, w : 2, x : 1 로 치환이 가능하다.

- 접근 권한 숫자와 대응 관계
| 접근 권한 | 환산 | 숫자 | 의미 |
| rwx | 111 -> 4+2+1 | 7 | 읽기, 쓰기, 실행 |
| rw- | 110 -> 4+2+0 | 6 | 읽기, 쓰기 |
| r-x | 101 ->4+0+1 | 5 | 읽기, 실행 |
| r-- | 100 ->4+0+0 | 4 | 읽기 |
| -wx | 011 -> 0+2+1 | 3 | 쓰기, 실행 |
| -w- | 010 -> 0+2+0 | 2 | 쓰기 |
| --x | 001 -> 0+0+1 | 1 | 실행 |
| --- | 000 -> 0+0+0 | 0 | 권한이 없음 |
위의 표와 같은 방식으로 소유자 권한, 그룹 권한, 기타 사용자 권한을 각각 숫자로 환산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.

- 숫자로 표현한 접근 권한의 예
| 접근 권한 | 숫자 모드 |
| rwxrwxrwx | 777 |
| rwxr-xr-x | 755 |
| rw-rw-rw- | 666 |
| r-xr-xr-x | 555 |
| rw-r--r-- | 644 |
| rwx------ | 700 |
| rw-r----- | 640 |
| r-------- | 400 |
2. 숫자 모드를 이용한 접근 권한 변경
- chmod에서 숫자 모드 사용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.

- 사용 예


728x90
반응형
LIST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linux] Linux에서 apt update 안될 때 팁 및 각종 설치 (0) | 2023.02.14 |
|---|---|
| [Linux] 17. 기본 및 특수 접근 권한 설정 (0) | 2023.02.10 |
| [Linux] 15. 기호를 이용한 파일 접근 권한 변경 (0) | 2023.02.10 |
| [Linux] 14. 파일 속성 및 파일 접근 권한 (0) | 2023.02.10 |
| [Linux] 13. 환경 설정 파일 (0) | 2023.02.10 |
댓글